회계법인 입사 나이 공백기 현재 만 31세이고, 미국 주립대학교에서 경제학과를 졸업했습니다. 금융권에서 약 1년
현재 만 31세이고, 미국 주립대학교에서 경제학과를 졸업했습니다. 금융권에서 약 1년 정도 일한 경력이 있고, 개인적인 사정으로 인해 공백기가 약 2년에서 2년 반 정도 있습니다.지금은 밥벌이를 위해 IT 회사에서 잠시 일하고 있지만, 현재 맡고 있는 일은 회계와는 전혀 관련이 없습니다. 다만 워라밸이 좋아서 AICPA 공부 병행을 위해 이 일을 선택한 상태입니다.앞으로 약 2년 반 정도 AICPA를 준비해서 자격증을 취득한 뒤, 회계법인(예: 빅4 등) 입사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이런 배경에서 나이와 공백기, 현재 업종 등이 큰 제약이 될지 궁금하고, 현실적으로 AICPA 취득 후 회계법인 입사가 가능한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저도 질문자님처럼 늦게 방향을 잡았던 경험이 있어서, 이 마음이 어떤 건지 조금은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아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지금부터 준비 잘 하신다면 충분히 가능합니다. 단, 몇 가지 전략은 꼭 필요해요.
먼저, 만 31세라는 나이와 2년 넘는 공백기, 거기에 현재 업종이 회계와 무관하다는 점, 이 세 가지가 겉보기에는 부담이 될 수 있어요.
하지만 질문자님은 지금 그걸 모두 인지하고 있고, 계획적으로 AICPA를 준비하며 워라밸을 확보한 상태죠.
이건 오히려 "진짜 커리어 방향성을 고민하고 있는 사람"이라는 강점이 될 수 있어요.
AICPA는 자격증 자체보다 그 이후의 실무 경험을 어떻게 설계하느냐가 더 중요해요.
실제 회계법인, 특히 빅4 같은 곳에서는 자격 + 실무 + 영어능력이 함께 갖춰져야 문이 열리기 때문에, 지금부터라도 회계와 관련된 경력을 아주 조금씩이라도 쌓아가는 게 필요해요.
예를 들어, 소규모 회계사무소의 인턴, 단기 프로젝트, 아르바이트 등 어떤 형태든 괜찮아요.
그리고 나중에 회계법인 지원하실 땐 지금까지의 흐름을 잘 정리해서 설명해야 해요.
“경제학 전공 → 금융권 경력 → 진로 고민과 공백기 → AICPA 준비 → 회계 커리어 확정”
이런 식으로 스토리라인을 만들면, 늦은 나이나 공백이 약점이 아니라 '방향을 다시 잡은 진정성 있는 사람'으로 보일 수 있어요.
회계법인도 꼭 빅4만 있는 건 아니고, 중견 회계법인이나 외국계 기업의 회계 부서도 고려해보시면 훨씬 현실적인 길이 많아질 수 있어요.
AICPA는 오히려 그런 쪽에서 더 높게 평가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힘든 상황에서도 방향을 세우고 움직이고 계신 걸 보면, 이미 절반은 오신 거예요.
남은 건 조급해하지 않고 차근차근 준비하는 거예요.
도움이 필요하시면 AICPA 준비 전략이나 실무 경험 쌓는 방법도 더 이야기 나눠드릴 수 있어요.
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다면
[포인트 선물]로 마음을 전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https://blog.naver.com/6zvqglo/223937420267

2025년, 고르고 고른 찐 꿀부업 4가지 + 가성비 알짜템 총 정리
어설픈 건 싹 다 걸렀습니다. 직접 해보고, 비교하고, 결과까지 확인한 정보만 모았습니다. 돈 드는 부업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