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대학교 성적 나누는 기준 대학교 성적 95까지가 a+로 알고 있는데(저희 과 전체 인원중 17명)혹시
대학교 성적 95까지가 a+로 알고 있는데(저희 과 전체 인원중 17명)혹시 대략 25?명 넘게 다 잘 치고 점수도 다 똑같으면(원점수)나누는 기준이 어떻게 되나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기준들이 동점자 처리 및 성적 분할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대학교 성적 평가 기준 및 동점자 처리 방법
세부 평가 항목의 반영 비율 확인:
대부분의 과목은 중간고사, 기말고사, 과제, 출석, 참여도(발표, 토론 등) 등 여러 평가 요소를 종합하여 100점 만점의 원점수를 산출합니다.
만약 원점수가 같더라도, 각 세부 평가 항목의 반영 비율을 다시 적용하거나, 특정 항목의 점수를 기준으로 우선순위를 두는 경우가 있습니다.
동점자 처리 우선순위:
많은 대학과 교수님들이 동점자 발생 시 우선순위 기준을 미리 정해둡니다. 일반적인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출석 성적: 출석률이 더 높은 학생에게 우선순위를 줍니다.
기말고사 성적: 기말고사 점수가 더 높은 학생에게 우선순위를 줍니다. (보통 중간고사보다 기말고사에 더 높은 비중을 두는 경우가 많음)
중간고사 성적: 중간고사 점수가 더 높은 학생에게 우선순위를 줍니다.
과제 성적: 과제 점수가 더 높은 학생에게 우선순위를 줍니다.
학습 참여도/태도: 수업 참여도, 발표, 토론, 퀴즈, 팀 프로젝트 등 비계량적인 요소나 추가적인 참여도를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이 부분은 교수님의 주관이 개입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우선순위는 학교 또는 학과마다 다를 수 있으며, 심지어 같은 과목이라도 교수님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소수점 단위 점수 활용 (숨겨진 점수):
겉으로 보이는 원점수가 같더라도, 실제 시스템에는 소수점 아래 자릿수까지 계산된 점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95.0점과 95.1점은 겉보기엔 같아 보여도 엄연히 다른 점수이므로, 이런 미세한 차이로 등급이 갈릴 수 있습니다.
과락 기준 또는 F 등급 부여 기준:
성적 등급을 부여하기 전에, 특정 기준(예: 출석률 75% 미만, 중간/기말고사 모두 미응시, 특정 과목 원점수 40점 미만 등)에 미달하면 무조건 F를 부여하는 규정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학생들이 미리 걸러지면서 등급 인원이 조정될 수도 있습니다.
교수님의 재량 (가장 큰 영향):
상대평가 비율은 '최대 비율'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 A+는 전체 인원의 17% 이내). 교수님은 이 최대 비율을 넘지 않는 선에서 재량권을 가집니다.
만약 모든 학생이 너무 잘해서 A+ 기준(95점 이상)을 넘는 학생이 25명이라면, 교수님은 정해진 A+ 비율(17명)에 맞춰 상위 17명에게 A+를 부여하고, 나머지 8명은 A0나 A-로 부여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때 위에서 언급된 동점자 처리 기준을 적용하게 됩니다.
간혹 교수님의 판단에 따라 특정 학생에게 가산점을 주거나, 세부 평가 기준을 더 촘촘하게 적용하여 점수 차이를 만드는 경우도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네, 만약 말씀하신 대로 A+를 받을 수 있는 원점수(95점 이상)를 받은 학생이 A+ 허용 인원(17명)보다 훨씬 많고, 심지어 그 학생들의 원점수까지 모두 동일하다면 교수님은 학교/학과에서 정한 동점자 처리 기준(출석, 시험 점수 비중, 과제 점수 등)을 활용하여 상위 17명을 선별하고, 나머지 학생들은 A0나 A- 등으로 부여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드물게 발생하지만, 대학교의 상대평가 시스템에서는 불가피하게 발생할 수 있는 현상입니다. 해당 과목의 교수님께 직접 문의하면 가장 정확한 답변을 얻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