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아래층누수보상 몇일전 저희 아파트 윗층에서 에어컨 실외기 때문에 불이 났습니다 불끈다고
몇일전 저희 아파트 윗층에서 에어컨 실외기 때문에 불이 났습니다 불끈다고 소방호수 물 쏘운거 때문에 바로 아래층에 사는 저희가 피해를 많이 보았습니다 이사온지 1년 밖에 안되었는데 이사올때 벽지며 이래저래 전등갈고 다했는데 천장이며 다 물에 젖었습니다 윗층에 있는사람들이 보상해준다고 말은하는데 어떻게 보상을 받는것인지 ??오늘 윗층 사람들 일상배상 책임보험 가입되어 있다고 거기서 사람이 나왔습니다 손해 사정사 에서 요 그리고 인테리어 업자하고 철거 팀이 왔습니다 다들 애기들어보니 우선 천장철거들어가고 천장말리고 인테리어 들어간다고 하던데 3주정도걸린다던데 저희 가족들이 지금 있을만한 거주지가 없어서 그러는데 손해사정사 하고는 통화해서 물어봣는데 거주지 하고 이사비 이사 이사들어오는거 까지비용을 처리 해준다고 말은하는데 애매하게 말씀을 하시더라고요만약 기타 등등 위에있는걸 다 저희 사비로 쓰고청구하며 백프로나오는지청구는 윗층에 해야하는지 아니며 손해사정사한테 직접해야하는지 궁굼합니다 그리고 이사업체랑 저희가 잇을만한 거주지를 거기다 알아보라 해야할지 아님 저희가 알아봐야할지궁굼 합니다
안녕하세요. 로톡-네이버 지식iN 상담변호사 이소희 입니다.
에어컨 실외기 화재로 인한 피해에 대해 심려가 크실 것 같습니다.
손해사정사의 역할: 윗집의 보험사에서 나온 손해사정사는 피해 정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보험 약관에 따라 보상 범위를 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현재 천장 철거 및 건조 후 인테리어 공사 진행을 말씀하셨으니, 이 부분은 손해사정사의 지휘 아래 진행될 것입니다.
보상 범위: 손해사정사가 제시하는 보상 범위에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항목들이 포함됩니다.
재산 피해: 물에 젖은 천장, 벽지, 전등 등의 원상 복구 비용 (인테리어 공사비)
거주지 비용: 공사 기간 동안 거주할 임시 숙소 비용
이사 비용: 임시 숙소로 이동하고 다시 집으로 돌아오는 이사 비용
기타 간접 손해: 세탁비 등 직접적인 피해 복구와 연관된 부대 비용
청구 주체: 기본적으로 모든 비용은 윗집의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사에 청구됩니다. 손해사정사는 보험사를 대리하여 업무를 처리하므로, 손해사정사와 협의를 통해 진행하시면 됩니다.
사비로 지출 후 청구: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 경우 나중에 영수증 등 증빙 자료를 꼼꼼하게 챙겨두셔야 합니다. 영수증이 없거나 객관적인 근거가 부족하면 보상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되도록이면 손해사정사와 협의 후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전에 손해사정사에게 이러한 비용에 대한 승인을 받는 것이 가장 확실합니다.
100% 보상 여부: 일반적으로 보험 약관 및 피해 상황에 따라 보상 비율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화재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고, 피해가 명확하며, 지출 증빙이 확실하다면 상당 부분 보상이 가능합니다. 다만, 전등 교체 등 이사 오실 때 새롭게 하셨던 부분에 대해서는 감가상각이 적용될 수도 있습니다. 이 부분은 손해사정사와 명확히 확인하셔야 합니다.
손해사정사와의 협의: 손해사정사가 거주지 및 이사 비용을 처리해준다고 애매하게 말씀하셨다면, 구체적으로 어떤 방식으로 처리되는지 다시 한번 명확하게 확인하셔야 합니다.
손해사정사 측에서 추천: 손해사정사 측에서 협력업체(이사, 임시 숙소)를 추천해주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가격 협의 등이 이미 되어 있어 편리할 수 있습니다.
직접 알아보는 경우: 손해사정사에게 "저희가 직접 알아봐도 괜찮은지, 가능하다면 어느 정도 선에서 예산을 잡아야 하는지" 문의하십시오. 직접 알아보는 것이 더 마음에 드는 곳을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나중에 청구 시 손해사정사가 제시하는 기준 금액을 초과할 경우 보상이 어려울 수도 있으니, 사전에 예산 범위를 조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선 손해사정사에게 임시 거주지(예: 근처 숙소, 단기 임대 주택 등)의 종류와 예상 비용, 이사 비용에 대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요청하십시오.
만약 직접 알아보는 것을 허락한다면, 몇 군데 견적을 받아서 손해사정사에게 공유하고 승인을 받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이렇게 하면 나중에 비용 청구 시 분쟁을 줄일 수 있습니다.
숙소의 경우: 가족 구성원 수와 편의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곳을 알아보시고, 손해사정사와 상의하여 결정하세요.
이사업체의 경우: 최소 2~3곳에서 견적을 받고, 손해사정사에게 공유하여 가장 합리적인 곳으로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피해 사진 및 영상: 화재 직후 물에 젖은 천장, 벽지, 전등 등 피해 상황을 다양한 각도에서 자세하게 사진과 영상으로 촬영해두십시오. 시간이 지날수록 피해 증거가 사라질 수 있으므로 초기 기록이 매우 중요합니다.
지출 증빙: 공사 중 발생하거나 임시 거주 등으로 인해 지출되는 모든 비용에 대해 영수증을 반드시 보관하십시오. 카드 결제의 경우 매출 전표를, 현금 결제의 경우 현금 영수증이나 간이 영수증을 받아두세요.
손해사정사와의 커뮤니케이션: 손해사정사와 주고받은 모든 내용은 가능하면 문자 메시지나 이메일 등 서면으로 남겨두는 것이 좋습니다. 구두로 합의한 내용은 나중에 번복될 수 있으므로, 중요한 내용은 반드시 서면으로 확인하십시오.
공사 일정 및 진행 상황 공유: 인테리어 업자와 철거 팀의 공사 일정과 진행 상황을 손해사정사에게 정기적으로 공유하여 투명하게 진행되도록 하십시오.
1) 모든 비용은 윗층의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사에 청구합니다. 손해사정사가 보험사를 대리하므로 손해사정사와 협의하여 진행하시면 됩니다.
2) 사비로 지출 후 청구는 가능하나, 사전에 손해사정사와 협의하고 영수증을 철저히 보관해야 합니다. 가능한 한 손해사정사의 승인을 받고 지출하는 것이 좋습니다.
3) 거주지 및 이사업체 선정은 손해사정사와 반드시 협의하여 진행해야 합니다. 손해사정사 측에서 추천해주는 곳이 있다면 편리할 수 있고, 직접 알아보는 경우에도 예산 범위 등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요청하고 사전에 승인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법률 관련 문의는 언제든지 전화 주시면 성심성의껏 도와드리겠습니다.
“법무법인 아이엠 법률 상담 전화번호 010-6551-13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