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의학 고1이고 원래 간호사 쪽에 관심이 있었는데 스포츠의학을 알게 되서 찾아보다가.. 궁금한것들이
고1이고 원래 간호사 쪽에 관심이 있었는데 스포츠의학을 알게 되서 찾아보다가.. 궁금한것들이 생겨서 몇가지 물어볼게여1. 스포츠의학과는 대학교 가서 뭘 배우나요? 물리 쪽을 배우나요? 2. 내신이 얼마나 돼야 가능한가요?3. 경쟁률 많이 세나요?4. 체대로 진학해야한다던데 신체 조건이나 체력 검사 보나요?
고등학교 1학년 때부터 진로를 구체적으로 고민한다는 건 정말 큰 장점이에요.
질문 주신 스포츠의학과에 대해 하나씩 정리해드릴게요.
기본 의학 지식: 해부학, 생리학, 병리학, 인체의 구조와 기능
운동 관련 과학: 운동생리학, 운동역학(바이오메카닉스), 운동처방학
재활·치료 관련: 스포츠 손상 예방과 치료, 물리치료학 기초, 스포츠 테이핑
영양·심리 영역: 스포츠 영양학, 스포츠 심리학
실습: 실제 선수 재활·체력 트레이닝, 병원/재활센터 연계 실습
즉, 단순히 **물리학(Physics)**만 배우는 건 아니고, 의학·체육학·재활학이 융합된 전공이라고 보면 돼요.
운동선수의 부상 치료, 재활, 경기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전반적 내용을 다룹니다.
대학마다 다르지만 보통 중상위권 이상은 요구돼요.
수도권 주요 대학 스포츠의학·운동재활 계열: 내신 2~3등급대 지원 가능성 ↑
체대 계열과 비슷하게 실기·면접이 함께 반영되는 경우 많음
단순히 내신만 보는 게 아니라 **실기 비중이 40~60%**까지 가는 대학도 있어서, 공부 + 체력 준비를 같이 해야 유리합니다.
스포츠의학과 단독 학과는 드물고, 보통 “스포츠재활학과, 운동처방학과, 체육학과 내 전공”으로 운영됩니다.
신설·인기 학과라 경쟁률은 꽤 높은 편 (4~7:1 수준도 흔함).
즉, 성적·체력·관심도 3박자가 다 필요합니다.
4. 체대로 꼭 가야 하나요? 신체 조건·체력 검사?
대부분 스포츠의학은 체육대학 소속이 많습니다.
그렇다 보니 **실기 시험(체력 측정)**이 필수인 경우가 많습니다.
100m 달리기, 제자리멀리뛰기, 메디신볼 던지기, 윗몸일으키기, 체력종합검정 등
신체 조건은 엄격하지 않지만, 기초 체력·운동 소양이 있어야 합니다.
일부 대학은 실기 대신 면접으로 대체하기도 해요(특히 보건·재활 계열은 실기 비중↓).
배우는 내용: 해부학·운동생리학·재활·스포츠손상치료·운동처방 등
내신: 중상위(23등급대), 학교 따라 45등급도 가능
경쟁률: 꽤 높음 (4~7:1), 특히 수도권 대학
체대 여부: 체대 소속이 많아 실기·체력 시험 비중 있음, 일부는 면접 위주

스포츠의학과 진학, 무엇을 배우고 어떻게 준비할까?
고등학교 시절, 간호학과처럼 보건계열에 관심을 두다가 스포츠의학이라는 전공을 알게 되어 진로를 바꾸는 학생들이 많습니다. 스포츠의학은 단순히 운동선수만을 위한 학문이 아니라, 현대 사회에서 운동 재활·건강 관리·스포츠 손상 치료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고 있어 전망이 밝은 전공 중 하나입니다. 그렇다면 스포츠의학과에서는 어떤 공부를 하고, 입시에서 내신이나 체력 조건은 어떻게 되는지, 경쟁률은 어느 정도인지 궁금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고등학생을 위한 스포츠의학과 진학 가이드를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스포츠의학과에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