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할때 0.4101$에 걸어놓으면 체결이 안되고 0.41달러에 바꾸면 체결이 되는데 무슨차이 인가요? 둘다 원화로는 같은 가격으로 표시되고요 왜 그런거죠? 소수점의 비밀을 알고 싶습니다수수료는 % 인데 왜 주식 수가 늘어나면 누진돼서 늘어나는것으로 표시되나요? 저것때문에 1주씩 주문하느라 스트레스 받습니다
안녕하세요~ 미국 주식 소수점 체결과 수수료 구조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으신 질문자님.
저도 처음 미국 주식 소수점 거래하다가 체결이 안 돼서 한참 헤맸던 경험이 있습니다. 정확히 왜 0.4101달러는 안 되고, 0.41달러는 체결되는지, 또 수수료는 왜 주식 수가 늘면 누진처럼 늘어나는지 이해하고 나면 매매할 때 훨씬 수월하실 거예요.
제 경험상 이렇게 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0.4101달러 vs 0.41달러: 왜 체결 차이가 날까요?
• 미국 주식은 소수점 네 자리까지 주문을 걸 수 있지만, 체결은 호가 단위에 따라 이루어집니다.
• 대부분의 종목은 0.01달러 단위로만 체결이 가능합니다.
즉, 0.4101달러는 호가 단위가 아니기 때문에 매수/매도 주문이 체결되지 않습니다.
• 반면, 0.41달러는 정식 호가 단위에 맞는 금액이라 거래가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 원화 환산 가격이 같더라도, 호가 단위 미일치 시 체결이 불가능하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수수료는 왜 주식 수가 늘면 더 많이 붙을까요?
• 수수료는 일반적으로 **거래 금액의 일정 % (예: 0.25%)**로 계산됩니다.
• 따라서 주식 수가 늘어나 거래 금액이 커지면, 비례해서 수수료도 증가합니다.
• "누진"처럼 보이는 건 단순히 거래 금액이 많아져서 생기는 자연스러운 현상이지, 진짜 누진 구조는 아닙니다.
• 일부 앱은 실시간 환율, 호가 단위, 수수료 반영이 느리게 업데이트되어 체감상 번거롭습니다.
• 이런 경우에는 원화 기준으로 총 예산 정해서 정액 주문하시거나,
• 시장가 주문으로 편하게 체결시키는 방법도 고려해보세요. 단, 변동성이 클 땐 주의가 필요합니다.
위 내용은 아래 블로그를 직접 검색하여 일부 내용을 말씀드렸습니다.
더 궁금한 관련 정보는 아래 블로그를 참고하세요.
[관련 정보 보러가기]: https://m.site.naver.com/1Qf3W

일상다반사
마음, 돈, 일상을 함께 풀어가는 생활 다이어리
m.site.naver.com

2025 정부지원금
청년부터 소상공인까지 꼭 필요한 지원금 소식 알려드려요.
질문자님의 매매가 조금 더 편해지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