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김구선생님이 중국 상하이로 망명한 이유가 뭔가요?
중국 상하이로 망명한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구 선생님의 상하이 망명은 일제 강점기 조선 독립운동의 맥락에서 이해해야 합니다. 그 배경에는 1919년 3·1운동과 임시정부 수립이라는 역사적 사건이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1.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919년 3월 1일, 전국적으로 전개된 3·1운동은 일제의 폭압적 통치에 항거한 대규모 독립운동이었습니다. 이 운동은 비록 실패로 끝났지만, 국제 사회에 한국인의 독립 의지를 알리는 계기가 되었고, 그 결과 1919년 4월 중국 상하이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됩니다.
김구 선생님은 3·1운동 이후 독립운동의 중심 무대가 해외로 옮겨가야 한다고 판단했고, 특히 국제적 활동이 용이한 중국 상하이를 망명지로 선택하셨습니다. 상하이는 당시 열강의 조계지가 있어 일제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약했으며, 해외 독립운동 세력이 결집하기에 유리한 조건이었습니다.
2. 일제의 탄압 회피와 독립운동 중심 참여
김구 선생은 이미 이전부터 일제에 의해 위협받는 인물이었으며, 1911년 '안악사건' 이후에도 감시 대상이었습니다. 3·1운동 이후 일제의 감시와 탄압이 강화되자, 안전한 곳에서 독립운동을 지속할 필요성이 컸고, 이는 망명으로 이어졌습니다.
상하이로 간 뒤 김구 선생은 임시정부의 국무위원, 국무령, 내무총장, 주석 등을 역임하며 독립운동의 핵심 지도자로 활약하였습니다. 또한 의열단, 한인애국단(윤봉길 의거 조직) 등 무장 투쟁을 주도하며 적극적인 항일 투쟁을 이어갔습니다.
3. 망명이 아닌 전략적 이동
단순히 일본의 탄압을 피하기 위한 '망명'이 아닌, 독립운동을 지속하고 조직화하기 위한 전략적 이동이었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그는 상하이에서의 활동을 통해 독립운동의 국제화를 시도하였고, 나아가 광복군 창설과 임시정부 활동을 통해 광복의 기반을 다졌습니다.
결론으로 말씀을 드리자면, 김구 선생님이 상하이로 망명한 이유는 일본의 탄압을 피하면서도 국제적인 독립운동을 전개하기 위한 전략적 선택이었으며, 그 중심에는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이라는 역사적 흐름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조금이나마 역사적배경에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